인천 미추홀구 주안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주안캐슬앤더샵에듀포레)비상대책위원회(주안4구역바로세우기추진위원회)는 지난 13일 오후 K대학교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A교수가 조합과 진행한 용역계약에 의문을 제기했다.
![]() © 신문고뉴스 |
주안4구역재개발을 통해 지어진 주안캐슬앤더샵에듀포레는 35층 13개동 1856세대 규모의 아파트로 2022년 7월 입주를 시작했다.
조합원들은 추가분담금 70억 원을 납부하고 2022년 7월 입주 후 등기를 기다렸으나 올 초 2차 추가분담금 100억 원을 요구받았다.
주안4구역바로세우기추진위(주바위)는 조합장이 정보공개 의무가 있는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고 조합원 일부가 공개를 요구하자 업무방해로 고소한다는 내용증명을 보냈다고 했다.
주바위 등 조합원들은 용역비 공개 등을 거부한 조합장을 상대로 해임 총회를 열고 해임안을 가결시켰다. 조합장은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고 법원이 이를 인용하며 조합장은 직을 유지하게 됐다. 주바위 등은 한 차례 더 해임 총회를 개최해 안건을 가결시켰지만 조합장은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했다. 오는 23~24일경 법원의 결정을 앞두고 있다.
조합원 C씨는 "추분(추가분담금)을 내야 등기를 칠 수 있다고 한다. 입주 전 추가분담금으로 70억 원을 냈는데, 입주 1년 후 100억 원을 더 내라하니 답답하다"고 호소했다.
조합원 D씨는 "재개발 주인은 조합원 아닌가, 조합장은 용역업체와 허위, 과장 계약을 했다는 의혹이 있다. 용역계약서를 보여달라하면 '비공개'라고만 한다"고 주장했다.
주안4구역바로세우기추진위는 조합과 용역을 체결한 업체가 K대 A교수와 연결돼 있다고 보고 있다. ㅎ연구원 명의로 주안4구역과 체결한 계약서에 (주)ㄹ과 ㅎ연구원 상호가 함께 기재됐기 때문이다. 주바위는 회사의 실제 공동 운영자 중 한 명이 K대 A교수라고 추정했다.
주바위는 A교수가 졸업생 B와 함께 용역업체를 운영하며 주안4구역 조합과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불필요한 용역비를 챙겼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로 인해 조합원 추가분담금이 늘었다는 것이다.
이어 주안4구역 조합이 K대 산학협력단과 2019년 4월 4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분양보증을 위한 토지조서 작성, 임대주택매각 협상, 상가조합원 분양배정 용역을 부가세 별도 3천만 원에 계약했다면서 대학 산학협력단이 어떻게 용역을 수행할 수 있는지 의아해 했다.
A교수는 역대 정부에서 도시계획 관련 일을 맡은 바있는 경험자라고 밝히면서 “조합 비리가 있으면 조합원들이 뭉쳐서 조합장을 변경하라, 조합원이 총회에 적극 참여하고 자료를 확인하라고 자문하고 있다. 조합원 이익을 위해 문제를 제기하는 입장인데 학생들 앞에서 저를 음해했다. 명예훼손이다”라고 말했다.
A교수는 “주바위가 조합원 이익을 제공하는 것 같지만 관리처분계획의 수립 총회를 막았다. 시공사 연체료가 생겼고 총회가 열리지 못했기에 조합원 재산권도 못 지키게 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A교수는 “제 제자가 CM사업을 하고 있어 자문해준 적이 있다. 주바위는 마치 제가 사업을 한다고 하는데, 공동사업자가 아니다. 저는 공적기능 및 재능기부 차원에서 주안4구역 조합이 시공사를 선정할 당시 자문을 통해 사업비 절감도 도왔다”고 했다.
K대 산학협력단 이름으로 용역을 체결한 데 대해 A교수는 “총 3천만원의 용역비를 체결했지만 1800만원만 수령했다”고 밝혔다.
A교수에 따르면 2019년 4월초부터 8월 31일, 다시 2021년 4월초까지 연장해 HUG 분양보증을 위한 토지조서 작성, 상가조합원 분양배정 등을 위한 용역을 조합과 체결했다. 용역비는 3천만 원이었다. 이후 조합이 임대주택매각협상을 LH가 아닌 민간임대사업자와 진행함에 따라 용역계약은 타절됐다.
A교수는 “학교연구소의 공적기능 및 재능기부 차원에서 일반적으로 5억 원 정도 받는 용역을 1800만원에 수행한 것”이라면서 1800만원 또한 연구원 급여 실비로 보면 큰 액수가 아니라고 했다.
이어 ㅎ연구소의 주주이긴 하나 실질적 운영을 하는 대표이사가 따로 있다며 용역계약 체결 과정에서 개입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A교수는 조합원들에게 100억 원의 추가부담이 발생한 것은 주바위의 업무방해에 따른 것이라며, 도시계획 연구 수행, 사업 자문 등으로 사업비 절감을 도왔는데 명예가 훼손됐다고 거듭 강조했다.